학과목 및 교실소개
수의기생충학은 동물에 기생하여 숙주동물의 증체율과 사료효율을 저하시키는 기생충성 질병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이다. 기생충은 감염에 의하여 숙주동물이 폐사되는 경우가 적고 병원성이 낮아 축주들이 그 기생충의 감염을 감지하지 못하고 지나치므로 장기간에 걸쳐서 증체저하와 사료효율의 불량을 가져와 경제적 손실이 크다. 그러므로 이러한 기생충성 질병들에 대한 이해를 높여 조기에 진단하고 적절한 방법으로 치료 및 예방함이 바람직하다. 또한 동물에 기생하는 기생충들 중에는 상당히 많은 종류가 인수공통 기생충으로써 사람에게 감염되어 고통과 함께 심한 경우에는 인명의 피해를 가져오므로 더욱 중요하다. 이러한 기생충에는 원충류, 연충류 및 절지동물이 있다. 원충류 중 말라리아 원인체인 Plasmodium속 원충은 매년 전세계 열대와 아열대 지역에서 100만-200만 명의 인명피해를 가져다준다. 이밖에도 수많은 원충(65,000여종)이 있어 각종 질병을 유발한다. 절지동물은 그 자체의 피해도 크지만 바이러스, 세균, 기생충 등 수많은 각종 질병의 원인체를 매개한다. 그리고, 연충류에는 흡충, 조충, 선충 및 구두충 등이 포함된다. 수의기생충학은 이러한 기생충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수의학적인 측면에서 어떻게 진단, 치료 및 예방을 해 나갈 것인가에 대하여 추구하고자 한다.
본 교실에서 제공하는 교과목
학부 :
-
수의기생충학 및 실험(Veterinary Parasitology & Laboratory, 본과 2학년)
대학원 :
- 가축과 가금의 콕시디아
- 선충학
- 수의면역기생충학
- 기생충배양기법
- 흡충학
전임교수
윤희정(교수) Hee-Jeong Youn
윤희정(교수) Hee-Jeong Youn
주소
|
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
|
---|
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(우: 151-742)
|
Gwanak _ 1 Gwanak-ro, Gwanak-gu, Seoul 151-742, Korea
|
전화번호
|
02-880-1267
|
---|
이메일
|
younhj@snu.ac.kr
|
---|
주요 연구분야
- Ascaris suum 과 trichieri suis의 항원 분석, Monoclonal Antibody 작성 및 FA 또는 ELISA를 이용한 혈청학적 진단법 개발
- Neospora caninum의 항원 생산 및 면역원성 실험
- 닭 콕시듐 원충 장기 보존법 개발 및 한약제 선발
- 가축, 가금 및 물고기의 기생충 검사
최근 발표논문
- 윤희정, 노재욱(1998). 항콕시듐제제가 콕시듐 백신에 미치는 영향. 대한수의학회지. 38(1) : 129-132
- 윤희정, 노재욱(1998). 국내 시판용 항콕시듐제제의 약제효능 재평가 II. 사료첨가용 항콕시듐제제.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. 22(2) : 131-137.
- 홍기옥, 윤희정, 노재욱(1997). 효소면역법과 간접형광 항체법을 이용한 쇠세모편모충(tritrichomonas foetus) 감염진단. 한국실험동물학회지. 13(2) : 143-149.
- 노재욱, 윤희정, 장두환(1997). 마우스 유래 크립토스포리듐 국내 분리주의 병원성 및 면역원성. 한국실험동물학회지. 13(2) : 151-159.
- 노재욱, 윤희정, 장두환(1997). 국내 흰생쥐 유래 크립토스포리듐의 썰파제, 톨트라주릴 및 약초 추출액의 항크립토스포리듐 효과. 한국실험동물학회지. 13(2) : 161-165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