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의기생충학
학과목 및 교실소개
수의기생충학은 반려동물, 가축 및 야생동물 등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기생충 연구에 중점을 둔 수의학의 한 분야이다. 기생충 질환, 원인, 생활환, 전파, 분포, 동물 건강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하여 기생충증의 진단, 치료 및 예방 등을 연구한다. 동물을 감염시킬 수 있는 기생충은 원충류(구포자충, 톡소포자충 등), 연충류 및 절지동물(벼룩, 진드기 등) 등을 포함하며 연충류는 선충(심장사상충 등), 흡충(간질 등) 및 조충(유무구조충 등) 등으로 계통적으로 분류한다. 또한 동물 기생충들 중에는 상당히 많은 종류가 인수공통 기생충으로써 사람을 감염시켜서 큰 피해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의학적으로도 중요하다. 전반적으로 수의기생충학은 동물의 건강과 복지 유지, 인수공통기생충질환으로 인한 공중보건 보호, 가축 생산성 및 식품 안전, 야생동물 보호에 필수적이다.
수의기생충학 연구실에서는 기생충이 숙주 내에서 적응하고 생존하는 기전을 규명하고, 기생충 질환에 대한 바이오마커를 예측 및 검증하며, 새로운 구충제 치료제 개발을 위한 약물재창출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다.
본 교실에서 제공하는 교과목
학부
- 수의기생충학 및 실험1, 2(본과 2학년)
대학원
- 수의기생충학 특론
- 고급기생충학
- 인수공통기생충학
- 기생충오믹스개론
- 최신기생충학방법론
전임교수
유원기(Yoo, Won Gi)
○ 주소: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,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85동 735호 (우: 08826)
○ 전화번호: 02-880-1267
○ 이메일: wongi.yoo@snu.ac.kr
주요 연구분야
- 기생충의 숙주내 적응 및 생존기전 연구
- 숙주-기생충 상호작용 연구
- 기생충질환 바이오마커 탐색 연구
- 구충제 개발을 위한 약물재창출 연구
- 원헬스 관점에서 기생충질환의 연구
- 기생충 연구를 위한 모델동물 개발 연구
최근 주요 발표논문
- Yoo, W. G., Dai, F., Pak, J. H., Hong, S.-J. & Song, J.-H. Structure-based virtual screening and molecular dynamics of potential inhibitors targeting sodium-bile acid co-transporter of carcinogenic liver fluke Clonorchis sinensis. PLoS Neglect Trop D 16, e0010909 (2022).
- Yoo, W. G., Sohn, W.-M. & Na, B.-K. Current status of Clonorchis sinensis and clonorchiasis in Korea: epidemiological perspectives integrating the data from human and intermediate hosts. Parasitology 149, 1296–1305 (2022).
- Dai, F. et al. Sodium-bile acid co-transporter is crucial for survival of a carcinogenic liver fluke Clonorchis sinensis in the bile. PLoS Neglect Trop D 14, e0008952 (2020).
- Cho, P. Y. et al. Serodiagnostic antigens of Clonorchis sinensis identified and evaluated by high-throughput proteogenomics. PLoS Neglect Trop D 14, e0008998 (2020).
- Yoo, W. G. et al. Bile Ductal Transcriptome Identifies Key Pathways and Hub Genes in Clonorchis sinensis-Infected Sprague-Dawley Rats. Korean J Parasitol 58, 513–525 (2020).
- Li, S. et al. Chemotactic migration of newly excysted juvenile Clonorchis sinensis is suppressed by neuro-antagonists. PLoS Neglect Trop D 13, e0007573 (2019).